국내 최초로 토마토죽 상품화에 성공한 최근학씨(농민신문보도내용)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 최초 ‘토마토 죽' 개발한 최근학씨
국내 최초로 토마토죽 상품화에 성공한 최근학씨.
부드럽고 달콤한 맛…“품질도 최고죠”
한끼 식사로도 거뜬한 토마토죽이 개발됐다.
충남 서산의 한 농업인이 국내 최초로 토마토를 이용한 죽을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대산읍 기은리에서 토마토 농사를 짓는 한아름채소밭농원(www.chaesobat.co.kr) 대표 최근학씨(61)가 그 주인공. 최씨는 서산시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2010 농업인기술개발사업에 참여, 2년여의 연구 끝에 최근 국내 최초로 토마토죽을 상품화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16년간 최고의 품질을 인정받으며 ‘토마토 박사’로 불리는 최씨가 토마토죽 개발에 나선 건 2007년의 일이다.
“지금까지 농사를 지으며 늘 최고의 상품을 생산했다고 자부하지만, 항상 들쭉날쭉한 토마토값으로 힘들었어요. 잘 받을 때는 한상자에 2만원이 훌쩍 넘다가도, 값이 떨어질 땐 그 4분의 1 가격으로 하락했으니까요. 그렇게 헐값으로 토마토를 넘기느니 이를 이용해 가공식품을 만들어 보자고 결심했죠. 그때 떠오른 것이 건강죽이었어요.”
그러나 주위의 반응은 싸늘했다. 너 나 없이 “토마토로 죽을 쑤면 누가 먹겠느냐”며 말리고 나섰지만, 그의 의지를 꺾지는 못했다. 마침 인근에서 호박농장을 경영하며 죽을 생산하고 있는 동생 근명씨(58)가 큰 힘이 됐다.
하지만 상품을 개발하는 일은 생각처럼 녹록지 않았다. 토마토를 갈아 찹쌀가루와 섞으면 모양은 제법 그럴싸했지만, 토마토의 시큼한 맛이 발목을 잡았다. 죽을 쑤고 또 쑤면서 시큼한 맛을 잡기 위한 그의 노력은 계속됐다.
“갖은 노력 끝에 구세주처럼 나타난 것이 바로 버섯추출물이었어요. 버섯을 이용하니 대부분의 잡냄새가 싹 잡혔죠. 하지만 고가의 재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때 연구를 도와주던 교수님 한분이 현미를 볶아서 써 보라고 자문을 해 주셨죠.”
풀릴 것 같지 않던 숙제가 풀리자 그는 지난해 10월, 충남농업대축전에 토마토죽을 선보이며 대규모 시음행사를 개최했다. 사람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자신감을 얻은 그는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들어갔고, 지난 21일 출시행사를 가졌다. <고향나루 토마토죽>이라는 이름으로 특허 및 상표출원을 마친 이 토마토죽은 부드럽고 달콤한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최씨는 “토마토 죽 생산이 빠른 시간 안에 자리를 잡아 가격 폭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토마토 농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041-663-2957.
서산=백연선 기자
국내 최초로 토마토죽 상품화에 성공한 최근학씨.
부드럽고 달콤한 맛…“품질도 최고죠”
한끼 식사로도 거뜬한 토마토죽이 개발됐다.
충남 서산의 한 농업인이 국내 최초로 토마토를 이용한 죽을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대산읍 기은리에서 토마토 농사를 짓는 한아름채소밭농원(www.chaesobat.co.kr) 대표 최근학씨(61)가 그 주인공. 최씨는 서산시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2010 농업인기술개발사업에 참여, 2년여의 연구 끝에 최근 국내 최초로 토마토죽을 상품화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16년간 최고의 품질을 인정받으며 ‘토마토 박사’로 불리는 최씨가 토마토죽 개발에 나선 건 2007년의 일이다.
“지금까지 농사를 지으며 늘 최고의 상품을 생산했다고 자부하지만, 항상 들쭉날쭉한 토마토값으로 힘들었어요. 잘 받을 때는 한상자에 2만원이 훌쩍 넘다가도, 값이 떨어질 땐 그 4분의 1 가격으로 하락했으니까요. 그렇게 헐값으로 토마토를 넘기느니 이를 이용해 가공식품을 만들어 보자고 결심했죠. 그때 떠오른 것이 건강죽이었어요.”
그러나 주위의 반응은 싸늘했다. 너 나 없이 “토마토로 죽을 쑤면 누가 먹겠느냐”며 말리고 나섰지만, 그의 의지를 꺾지는 못했다. 마침 인근에서 호박농장을 경영하며 죽을 생산하고 있는 동생 근명씨(58)가 큰 힘이 됐다.
하지만 상품을 개발하는 일은 생각처럼 녹록지 않았다. 토마토를 갈아 찹쌀가루와 섞으면 모양은 제법 그럴싸했지만, 토마토의 시큼한 맛이 발목을 잡았다. 죽을 쑤고 또 쑤면서 시큼한 맛을 잡기 위한 그의 노력은 계속됐다.
“갖은 노력 끝에 구세주처럼 나타난 것이 바로 버섯추출물이었어요. 버섯을 이용하니 대부분의 잡냄새가 싹 잡혔죠. 하지만 고가의 재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때 연구를 도와주던 교수님 한분이 현미를 볶아서 써 보라고 자문을 해 주셨죠.”
풀릴 것 같지 않던 숙제가 풀리자 그는 지난해 10월, 충남농업대축전에 토마토죽을 선보이며 대규모 시음행사를 개최했다. 사람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자신감을 얻은 그는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들어갔고, 지난 21일 출시행사를 가졌다. <고향나루 토마토죽>이라는 이름으로 특허 및 상표출원을 마친 이 토마토죽은 부드럽고 달콤한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최씨는 “토마토 죽 생산이 빠른 시간 안에 자리를 잡아 가격 폭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토마토 농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041-663-2957.
서산=백연선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